hyunsangwon / AWS_note

AWS 서비스 핵심 개념 정리노트 🙆‍♂️

Geek Repo:Geek Repo

Github PK Tool:Github PK Tool

AWS memo ✏️

AWS 서비스를 핵심만 간략하게 정리용도 입니다.

VPC(Virtual Private Cloud)

  • 논리적으로 격리된 사용자 전용 네트워크 구역
  • AWS에서는 default VPC를 제공
  • VPC는 연결 및 데이터 전송에 비용이 발생, VPC 유지 자체 비용은 청구되지 않는다

서브넷

  • VPC를 논리적으로 분리한 서브네트워크로 AWS 환경 내의 네트워크 최소 단위
  • IGW (AWS 라우터)를 기준으로 Public 서브넷과 Private 서브넷으로 나뉨

EC2

  • AWS상의 가상 서버

EBS

  • 하드디스크 이며 최소 8GB 부터 시작가능
  • 디스크는 늘릴 수 있으나 줄일 수는 없다
  • EC2에서 분리(Detach)하여 유지하더라도 비용이 청구
  • EC2 인스턴스와 EBS볼륨 사이는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네트워크로 연결

AMI(Amazon Machine Image)

  • 즉시 사용이 가능한 상태의 OS 및 패키지 조합
  • AWS 이외의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
  • AMI 가상화 타입으로 완전가상화인 HVM과 반가상화인 PV가 있고 HVM 성능이 더 좋다

보안그룹

  • OS 레벨에서 네트워크 통신 필터링 룰을 정하는 것
  • 인스턴스 단위로 통신을 제어 해준다
  • Black List(특정 IP 포트를 allow)이며 Stateful 이므로 In 트래픽 포트만 명시해줘도 통신이 된다

NACL

  • 서브넷 단위로 통신을 제어 해준다
  • White list(특정 IP 포트를 deny) 이고, Stateless 이므로 In/Out 에대한 포트가 정확히 명시되어야한다

CDN (Amazon CloudFront)

  • 응답 속도를 높이거나 웹 서버로의 접속을 줄일 수 있다

ELB

  • IP주소가 고정이 아니라 동적이기 때문에 IP주소가 아닌 CNAME(대체 도메인 이름)을 지정하여 접속
  • ELB용과 웹 서버용으로 각각 다른 보안 그룹을 마련
  • 세션 유지 기능의 유무 (스틱 세션)
  • HTTPS 처리, 웹 서버별로 SSL 증명서를 관리할 필요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, SSL 복호화 처리에 걸리는 부하가 줄일 수 있다
  • 웹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감시하는 헬스체크 설정도 포함

RDS

  • 자동적으로 백업이 작성
  • OS 접속 제한, 루트 로그인 제한
  • 서브넷 그룹을 만든 후 RDS생성이 가능
  • Replication 작업 용이

Auto Scaling

  • 서버의 부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시작하고 확장 (클라우드만 있는 기술)
  • Cloud Watch와 함께 사용
  • 인스턴스를 생성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클라우드 워치 정보의 임계값을

About

AWS 서비스 핵심 개념 정리노트 🙆‍♂️


Languages

Language:Python 87.3%Language:JavaScript 12.7%